탐라

역사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국의 역사

제주의 옛명칭은 도이(島夷), 동영주(東瀛洲), 섭라(涉羅), 탐모라(耽牟羅), 탁라 등으로 불리어 왔다.

이들 명칭중 '동영주'만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섬나라' 라는 뜻이다. 제주도의 개벽신화인 3성(三姓)신화에 의하면 태고(기원전후)에 '고을나(高乙那)', '양을나(良乙那)', '부을나(夫乙那)' 라고 하는 삼신인(三神人)이 한라산 북쪽 모흥혈(毛興穴:현재의 삼성혈) 이라는 땅 속에서 솟아나와 가죽옷을 입고 사냥을 하며 살고 있었다. 이들 삼신인들은 '벽랑국(碧浪國)' 에서 오곡의 씨앗과, 송아지, 망아지 등을 갖고 목함을 타고 제주특별자치도 동쪽해상으로 들어온 삼공주를 맞아 혼례를 올렸다. 이때부터 이들은 오곡의 씨앗으로 농사를 짓고 소와 말을 기르며 살기 시작했다.

그후 '고을나'의 15대 후손 3형제 (후, 청, 계)가 당시 '신라'에 입조(入朝)하여 '탐라' 라는 국호를 갖게 되었고, 또 이때부터 탐라는 신라를 섬기게 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이 탐라국은 고구려, 백제신라로 분열된 삼국시대에는 이들 나라들과 독자적으로 혹은 그에 예속되어 있으면서 외교관계를 맺어왔다 . 전성기에는 전라도 남해안 일대에도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짐작된다.

고려 시대에도 탐라국은 신하를 자처하면서 고려 조정과 원만하게 지낸 결과 탐라국의 독특한 문화와 역사의 맥은 계속 이어졌다.

1105년에는 고려의 행정구역인 탐라군으로 바뀌었으나, 성주-왕자의 지위는 그대로 존속되어 실질적인 탐라의 통치자 역활을 하였다.

13세기 중엽, 삼별초 항쟁군의 최후 거점지역이 되었다가 삼별초를 토벌한 원나라의 방목장이 되었다. 이때 탐라국은 결정적인 타격을 입어 사실상 멸망하였다. 또한 원나라의 영향으로 독특한 제주도 방언이 생긴 것으로 짐작된다.

최종적으로 1402년 성주 '고복례'가 탐라국왕을 일컫는 '성주'라는 칭호를 조선에 반납하면서 탐라국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