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공왕

역사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라 역대 왕계표

박씨

1대 박혁거세 (기원전 57년~서기 4년)

2대 남해 차차웅 (4년~24년)

3대 유리 이사금 (24년~57년)

석씨

4대 탈해 이사금 (57년~80년)

박씨

5대 파사 이사금 (80년~112년)

6대 지마 이사금 (112년~134년)

7대 일성 이사금 (134년~154년)

8대 아달라 이사금 (154년~184년)

석씨

9대 벌휴 이사금 (184년~196년)

10대 내해 이사금 (196년~230년)

11대 조분 이사금 (230년~247년)

12대 첨해 이사금 (247년~261년)

김씨

13대 미추 이사금 (261년~284년)

석씨

14대 유례 이사금 (284년~298년)

15대 기림 이사금 (298년~310년)

16대 흘해 이사금 (310년~356년)

김씨

17대 내물 마립간 (356년~402년)

18대 실성 마립간 (402년~417년)

19대 눌지 마립간 (417년~458년)

20대 자비 마립간 (458년~479년)

21대 소지 마립간 (479년~500년)

22대 지증 마립간 (500년~514년)

23대 법흥왕 (514년~540년)

24대 진흥왕 (540년~576년)

25대 진지왕 (576년~579년)

26대 진평왕 (579년~632년)

27대 선덕여왕 (632년~647년)

28대 진덕여왕 (647년~654년)

29대 태종 무열왕 (654년~661년)

30대 문무왕 (661년~681년)

31대 신문왕 (681년~692년)

32대 효소왕 (692년~702년)

33대 성덕왕 (702년~737년)

34대 효성왕 (737년~742년)

35대 경덕왕 (742년~765년)

36대 혜공왕 (765년~780년)

37대 선덕왕 (780년~785년)

38대 원성왕 (785년~798년)

39대 소성왕 (798년~800년)

40대 애장왕 (800년~809년)

41대 헌덕왕 (809년~826년)

42대 흥덕왕 (826년~836년)

43대 희강왕 (836년~838년)

44대 민애왕 (838년~839년)

45대 신무왕 (839년)

46대 문성왕 (839년~857년)

47대 헌안왕 (857년~861년)

48대 경문왕 (861년~875년)

49대 헌강왕 (875년~886년)

50대 정강왕 (886년~887년)

51대 진성여왕 (887년~897년)

52대 효공왕 (897년~912년)

박씨

53대 신덕왕 (912년~917년)

54대 경명왕 (917년~924년)

55대 경애왕 (924년~927년)

김씨

56대 경순왕 (927년~935년)

신라 36대 임금. 생몰연대 756년~780년. 재위 765년~780년

삼국유사에 다음과 같은 탄생설화가 기록되어 있다. 신라 35대 임금인 경덕왕에게는 딸이 있었고, 아들이 없었다. 그리하여 경덕왕은 후계자가 없는 것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었다. 경덕왕표훈이라고 하는 승려랑 벗하며 지냈는데, 그는 사람들에게 널리 인정받는 고승이며, 하느님과 이야기할 수 있는 신비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신라 경덕왕은 표훈에게 "나를 계승할 아들을 낳고 싶은데, 그 소원을 들어줄 수 없겠느냐?"고 부탁하였더니, 표훈이 한울님(하느님)에게 왕이 아들을 갖게 하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울님은 "경덕왕에게 아들을 낳게 해주면 나라를 멸망하게 되는 꼴이 되므로, 차라리 딸을 낳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지만, 경덕왕이 나라를 멸망시켜도 좋으니 사내 아이만을 바란다고 간청하여 결국 하느님이 소원을 이루어 주었다. 얼마 후 경덕왕의 부인 만월부인이 혜공왕을 낳았고, 이것을 기뻐한 경덕왕이 혜공왕에게 "건운"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760년(경덕왕 19년) 왕태자로 책봉되었다가, 765년 경덕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즉위시 나이가 8세였으므로 태후(만월부인)가 섭정했다. 768년 일길찬 대공(大恭)과 아찬 대렴(大廉) 등이 반란을 일으켰으나(96각간의 난) 김은거(金隱居)를 비롯한 왕군(王軍)이 진압했다. 770년에는 대아찬 김융(金融)이 반역을 꾀하자 주살(誅殺)했다. 774년 이찬 김양상(金良相)을 상대등으로 임명하고, 이듬해에는 이찬 김순(金順)을 시중으로 삼았다. 775년 김은거이찬 염상(廉相)과 정문(正門)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모두 진압되었다. 777년 이찬 김주원(金周元)을 시중으로 삼았다. 780년 이찬 김지정(金志貞)이 반란을 일으켜 왕궁을 포위하자, 김양상이찬 경신(敬信)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진압했다. 혜공왕은 이 난중에 살해되었으며 경신의 추대를 받은 내물왕계의 김양상이 왕위에 올라 태종 무열왕 직계의 왕통이 단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