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란 침공

역사위키
Jkl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8월 29일 (일) 11:23 판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 기타 검색어: "거란의 침공", "거란의 침입", "거란침입".

요나라가 3차례에 걸쳐 고려를 침공한 일.

배경

고려북진 정책요나라의 동진 정책이 충돌, 요나라중국 침공을 위한 후방 안정화의 일환으로 요나라는 고려를 3차례에 걸쳐 침공하였다.

거란태종후진을 멸망시키고, 국호를 요나라로 바꿨다. 이 무렵 중국은 5대 10국 시대의 혼란을 극복하고 송나라로 정리되고 있었다. 결국 신흥 세력인 요나라송나라의 충돌은 동북아시아를 긴장상태로 몰아갔다.

이 동안 고려에서는 북진 정책의 일환으로, 서경 천도를 계획하고, '광군'이라는 조직을 만들어 30만 대군을 조직하면서 요나라의 침공에 대비하였다. 962년에는 송나라와 손을 잡고 적극적으로 북진 정책을 추진하였다. 또한 발해 유민들이 세운 압록강 유역의 정안국요나라를 협공할 태세를 보이자, 요나라는 국제적으로 고립되었다.

위기를 느낀 요나라986년 정안국을 멸망시켰다. 하지만 요나라는 최종적으로 송나라를 정벌하기 위해서는 후방에 위치한 고려 정복의 필요성을 느꼈다.

1차 침공

993년 요나라는 8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급습하였다. 이에 앞서 여진족이 먼저 고려요나라의 공격태세를 알렸으나, 고려 조정에서는 여진족의 정보를 믿지 않았다.

또한 당시 고려요나라에 대항하는 태세가 정비되지 못하였다. 주화파와 강경파가 조정에서 맞서고 있었고, 요나라군에 대항하는 체계도 통일되지 못하였다.

요나라군의 총사령관인 소손녕이 8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였고, 곧 봉산군을 점령하였다. 고려 성종은 '청화사(화친을 청하는 사신)'을 보내어 고려 침공의 의도를 파악하게 하였다. 한편 요나라군은 개경으로 침공할 의사를 보이지 않고, 다만 고려의 항복을 요구하였다. 시간을 번 고려 조정은 서경 이북의 땅을 떼주고 요나라와 강화하자는 의견이 대두되었으나, 당시 중군사로 있던 서희는 이를 반대하였다. 그는 이번 요나라의 침공은 영토를 얻으려는 목적이 아니라 송나라고려의 연대를 끊고, 요나라고려가 화친을 하여 요나라의 배후를 안정시키려는 목적임을 간파하였다. 그리하여 일단 한 번 싸운 다음 화친을 해도 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요나라소손녕고려가 아무런 응답이 없자, 안융진을 공격하였으나, 패퇴당하고 말았다. 요나라의 기세가 꺾이자, 서희가 담판에 나서 "요나라의 동경(요양성. 요동의 중심)은 옛 고구려의 땅이며, 양국 간의 화친을 맺으려면 양국 사이에 있는 여진족의 땅을 정벌하여 양국을 잇는 도로를 닦아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소손녕서희의 주장에 동의하고, 송나라와 관계를 끊고 요나라에 조공한다는 조건으로 압록강 동쪽에 있는 여진족의 땅 280리를 고려가 소유하는 것을 묵인하였다. 이 땅이 바로 "강동 6주"이다.

화친이 성립된 이후 소손녕은 곧 군대를 몰고 물러갔다. 이렇게 1차 침공은 끝이 났다.

2차 침공

1차 침공 이후에도 고려는 여전히 '친송 정책'을 고수하고 있었다. 이에 요나라고려를 침공할 구실을 찾고 있었다. 때마침 강조 정변이 일어나 고려 현종이 즉위하자, '강조에게 죄를 묻는다.'라는 구실로 요나라성종이 친히 4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공하였다. 명분은 강조 정변을 문책한다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강동 6주의 전략적 가치를 재인식하고, 송나라고려의 관계를 완전히 끊기 위한 침공이었다.

요나라 성종의주 인근의 홍화진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고, 진로를 바꾸어 강조가 거느린 군대를 통주 부근에서 대파하였다. 이때 강조도 죽임을 당했다. 기세를 올린 요나라군은 서경과 인근 성을 공격하였지만 성공하지 못하고, 남하하여 개경을 점령하였다. 개경요나라군의 만행으로 도시가 엉망이 되었으며, 현종나주로 피신하였다.

이에 현종하공진을 '청화사(화친을 청하는 사신)'으로 보내어 강화를 요청하였다. 게다가 요나라개경의 점령에만 급급하여 병참선이 매우 부실하였다. 요나라고려의 요청을 받아들여 '현종이 직접 요나라에 가겠다.'라는 약속을 받고 철군하였다.

철군하는 와중에도 요나라 군대는 귀주 인근에서 양규, 김숙흥 등의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

3차 침공

1011년 개경으로 복귀한 현종은 약속과는 달리 요나라에 입조하지 않았다. 현종이 병을 핑계로 삼아 요나라에 입조하지 않자, 요나라강동 6주를 반환하라고 요구하였다. 1014년부터는 강동 6주의 반환을 요구하면서 강동 6주를 빼앗기 위해서 계속적으로 무력침공을 했지만, 번번히 실패하였다.

고려요나라와 국교를 끊고, 요나라의 침공에 대비하였다. 요나라1018년 12월 소배압의 지휘 아래 10만 대군을 이끌고 다시 고려를 침공하였다.

그러나 고려는 준비가 다 되어 있었다. 상원수에 감강참, 부원수에 강민첨을 임명하고 20만 8천의 군사를 준비하였다. 두 장군은 홍화진으로 진격하여 의주 부군에서 요나라 군대를 대파하였다. 이에 소배압은 사잇길로 개경으로 진격하려 하였으나, 그마저도 강민첨에게 격파당했다.

1019년 1월, 어렵게 개경부근에 요나라군이 당도하였으나, 이미 승패는 결정난 상태였다. 소배압은 사실상 승산이 없자 후퇴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강감찬은 후퇴하는 요나라군을 귀주에서 대파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귀주 대첩"이다. 요나라군은 불과 수 천명이 살아서 국경을 넘었다.

이듬해 1020년 5월에 고려요나라의 국교는 회복되었으며, 고려요나라의 연호를 쓰고, 송나라와의 교류를 끊는다는 것에 합의하였다. 하지만 고려 임금의 요나라 입조 문제, 강동 6주 등의 문제는 요나라의 뜻대로 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