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현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차이 없음)
|
2009년 4월 1일 (수) 16:39 판
조선 역대 왕계표 |
---|
|
예송 논쟁
현종은 즉위 직후부터 예송 논쟁에 휘말렸다. 주된 내용은 효종을 장자로 보느냐, 혹은 차남으로 보느냐이다. 효종은 인조 임금의 둘째 아들이었으나 소현세자가 죽음으로써 세자 자리에 올랐다. 효종이 죽고 현종이 왕위에 오르자 현종의 할머니 뻘인 자의대비(인조의 계비)가 3년 상복을 입는 것(효종을 장자로 보고, 정통 계승. 남인)과 1년 상복을 입는 것(효종을 차남으로 보고 일반 상례에 따르는 것. 서인)이 충돌하였다. 이를 기해예송이라고 한다. 이를 기해예송이라고 한다. 기해예송에서는 서인이 승리하게 된다.
1674년에는 갑인예송이 일어나느데, 주된 내용은 왕대비(현종이 어머니뻘)이 죽자, 대왕대비인 자의대비가 입을 상복의 기한을 정하는 것이다. 이 때 서인은 9개월 상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남인은 1년 상복을 주장했다. 이 때 현종은 남인의 주장을 들어줬다.
예송논쟁은 주로 무모한 붕당의 부작용을 지적하는 사례로 쓰인다. 상복을 입는 기간을 가지고 소모적인 논쟁과 정권다툼에 이용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결과 이는 정치·사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관점의 차이이며, 예송 논쟁은 조선의 붕당이 단순한 권력다툼이 아니라 사상·철학·정치·사회적 이해의 차이에서 빚어지는 고도의 정치활동으로 규정되고 있다.
치세(?)
현종은 국방강화와 조선의 통치체제 재확립을 위해서 노력하였다. 군대를 양성하고, 화포를 개량하여 대량 생산하는 등 군비증대를 하였고, 북방 여진족을 공격하여 북방을 안정화시켰다. 백성들을 장악하기 위하여 오가작통사목을 제정했다. 수리시설과 양전사업에 힘썼으며, 호남지역에 대동법을 처음으로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