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군

역사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역대 왕계표
  1. 태조 (1392년~1398년)
  2. 정종 (1398년~1400년)
  3. 태종 (1400년~1418년)
  4. 세종 (1418년~1450년)
  5. 문종 (1450년~1452년)
  6. 단종 (1452년~1455년)
  7. 세조 (1455년~1468년)
  8. 예종 (1468년~1469년)
  9. 성종 (1469년~1494년)
  10. 연산군 (1494년~1506년)
  11. 중종 (1506년~1544년)
  12. 인종 (1544년~1545년)
  13. 명종 (1545년~1567년)
  14. 선조 (1567년~1608년)
  15. 광해군 (1608년~1623년)
  16. 인조 (1623년~1649년)
  17. 효종 (1649년~1659년)
  18. 현종 (1659년~1674년)
  19. 숙종 (1674년~1720년)
  20. 경종 (1720년~1724년)
  21. 영조 (1724년~1776년)
  22. 정조 (1776년~1800년)
  23. 순조 (1800년~1834년)
  24. 헌종 (1834년~1849년)
  25. 철종 (1849년~1863년)
  26. 고종 (1863년~1907년, 광무황제 1897년~1907년)
  27. 순종 (융희황제 1907년~1910년)

조선 제 15대 왕이다. 선조의 둘째 아들이다. 후궁 공빈 김씨 소생이다.

1592년 임진왜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얼떨결에 세자로 책봉되었다. 이후 광해군은 분조를 이끌고 임진왜란을 극복하는데 노력하였다. 선조가 죽고 어렵게 1608년 왕위에 올랐다. 즉위하자마자 여러 시책들을 시행하였는데, 대동법이 대표적인 것이다. 이는 공납을 쌀로 대신 납부하게 하여 백성들의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양반들의 견제로 경기도에서 먼저 시행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수도를 파주 교하로 옮기려고 하였으나 신하들의 완강한 반대로 무산되었다. 궁궐을 건축하여 왕실의 권위를 높였다.

당쟁의 폐해를 억제하기 위해서 노력을 하였으나, 왕권 기반이 취약하기 때문에 오히려 대북파의 득세로 당쟁이 심해졌다. 이로 인해서 왕권강화를 명분으로 대북파는 영창대군 살해, 인목대비 폐비, 광해군의 친형인 임해군을 죽이는 등 인륜적으로 문제가 많았다.

재위 15년간 여러 업적들이 있는데, 명나라후금와의 중립외교는 대표적인 것이다. 명나라의 원병 요청에 1619년 강홍립을 원군 사령관으로 보내어 유연하게 대처했으며, 북방의 정세를 알기 위해서 정보력을 총동원하였다.

이 외에도 불타 없어진 사고를 다시 지었으며, 호패법을 재실시, 동의보감의 편찬과 배포 등 여러 업적들이 있었다. 그러나 명나라에 의리를 지키지 않았다는 것과 동생(영창대군)을 죽이고 어머니(인목대비)를 유폐했다는 '폐모살제'는 양반들의 유교윤리에 크게 어긋나는 것이었다. 또한 대동법의 실시로 기득권에 위협을 느낀 양반들은 반 광해군 세력으로 뭉치기 시작했다.

1623년 광해군은 서인이 주도한 쿠데타(인조반정)에 의하여 왕위에서 쫓겨나고 강화도에서 살다가 죽었다.

쫓겨난 왕이기에 묘호도 없이 '광해군'으로 불리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