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인조

역사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역대 왕계표
  1. 태조 (1392년~1398년)
  2. 정종 (1398년~1400년)
  3. 태종 (1400년~1418년)
  4. 세종 (1418년~1450년)
  5. 문종 (1450년~1452년)
  6. 단종 (1452년~1455년)
  7. 세조 (1455년~1468년)
  8. 예종 (1468년~1469년)
  9. 성종 (1469년~1494년)
  10. 연산군 (1494년~1506년)
  11. 중종 (1506년~1544년)
  12. 인종 (1544년~1545년)
  13. 명종 (1545년~1567년)
  14. 선조 (1567년~1608년)
  15. 광해군 (1608년~1623년)
  16. 인조 (1623년~1649년)
  17. 효종 (1649년~1659년)
  18. 현종 (1659년~1674년)
  19. 숙종 (1674년~1720년)
  20. 경종 (1720년~1724년)
  21. 영조 (1724년~1776년)
  22. 정조 (1776년~1800년)
  23. 순조 (1800년~1834년)
  24. 헌종 (1834년~1849년)
  25. 철종 (1849년~1863년)
  26. 고종 (1863년~1907년, 광무황제 1897년~1907년)
  27. 순종 (융희황제 1907년~1910년)

왕위에 오르기 전에는 '능양군'으로 책봉받았다. 갑자기 서인들의 추대를 받아 인조반정으로 왕위에 올랐다. 이렇게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왕권이 매우 허약하였다. 즉위 직후부터 여러 반역사건이 일어났고, 특히 1624년에는 반정공신 이괄이 일으킨 '이괄의 난'으로 공주까지 내려갔다.

즉위 이후부터 광해군의 정책을 부정하여, 특히 외교적으로 친명배금정책을 폈다. 이는 후금을 자극하였고, 정묘호란(1627년)이 일어났다. 인조 임금은 재빨리 강화도로 피난갔다. 당시 후금군은 해전을 할 줄 몰랐기 때문에 인조 임금을 잡지 못하고 강화교섭을 진행하여 조선과 형제의 맹약을 맺고 물러났다.

그러나 갈수록 후금의 힘은 커졌고, 비례해서 조선의 친명배금정책도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1636년, 후금은 나라이름을 '청나라'로 바꾸고 조선에 굴복을 요구했다. 조선은 이에 맞서다가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청나라군을 피해 인조 임금은 다시 강화도로 피난하려 하였으나, 이미 청나라군은 강화도로 가는 길을 막고 있었다. 인조 임금은 할 수 없이 남한산성에 들어가 농성을 했으나, 결국 40여일 만에 농성을 끝내고 삼전도에서 청나라에게 비참한 항복을 하였다.

청나라의 침공을 예견하고, 군사력 증대에 힘썼다. 그리하여 수어청을 신설하는 등 5군영 체제를 확립하였다. 대동법은 조금씩 확대하였으며, 영정법을 실시하였다.

1645년,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억류되었던 소현세자가 서양문물을 가지고 귀국하자 조선의 체제를 흔들 것을 우려한 인조 임금과 서인 세력은 소현세자를 제거하고 소현세자의 두 아들을 죽이는 등 잔혹하게 처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