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 기타 검색어: "개경", "송악", "송도"

현재 북한의 2대 도시. 옛 고려의 수도

역사

고려의 수도 "개경"

고려가 건국되기 전에는 "송악"이라고 불렸으며, 왕건의 조상인 작제건 등 왕씨일족이 이 지역의 토호로서 대대로 장악하고 있었다. 송악중국과의 무역이 활발하여 왕건집안은 이 경제적 기반이 고려건국의 밑바탕이 되었다. 후고구려의 임금 궁예도 일시적으로 송악에 도읍한 적이 있다.

고려 태조 왕건919년에 개경을 왕도로 정하고, 궁궐을 짓고, 5부로 구획을 지었다. 궁궐과 도성의 기본기획에서는 풍수지리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초기에는 개성군과 송악군을 합쳐서 '개주'라고 하였는데, 960년(광종 11년)에 이름을 '개경'으로 고치고, 987년(성종 6년)에 5부의 구획을 다시 정비하고, 995년(성종 14년)에는 개성부로 고쳐 적현 6현과, 기현 9현을 관리하게 하였다. 1010년(현종 1년)에 거란의 침입으로 개성부가 황폐해져 1018년에 3개의 현만 관리하게 하였고, 1024년에 다시금 5부의 구획을 정비 하였다.

1029년나성을 완성하였고, 1062년에는 지개성부사를 두어 도성에서 관할하고 있던 10현을 모두 개성부로 예속시켰다. 또 서해도 우봉군을 떼어서 예속시켰다. 1308년(충렬왕 34년)에 개성부윤은 성 안만 관리하고, 개성현령은 성 외곽을 관리하게 하였다. 1358년(공민왕 7년)에는 외성을 수축하였고, 1390년(공양왕 2년)에는 경기도를 좌·우도로 나누면서 개성부는 경기우도에 속하게 하였다.

1394년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면서 개성부를 '송도개성유후사'로 개칭하면서 수도로서의 기능을 마감하였다.

고려시대 개경은 초기부터 국제도시로서 많은 상거래와 교역이 행해지는 대도시였다.

조선시대 이후

1438년(세종 20년)에는 '개성유수'로 고치고, 1467년(세조 13년)에는 유수, 단사관, 경력, 도사 등 개성을 관할하던 각종 직책을 없앴으나, 1470년(성종 1년)에는 다시 유수, 경력, 도사 등으르 두었다. 1895년에는 개성부가 되어 13군을 관할하였고, 1906년에는 군이 되었다가 1914년에는 풍덕군을 없애고, 개성군에 포함시켰다.

해방 이후 남북 분단시 개성시는 남한이었으며, 경기도북한 지역은 황해도에 편입되었다. 1945년 11월 개풍군 2개면과 장단군 5개면이 분리되어 장풍군이 신설되었다.

북한1951년 초 개성시에 개풍군을 병합하여 개성지구로 명명하였다.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 때 개풍군이 개성시에 통합되고, 개풍군·장풍군의 일부가 분리되어 판문군이 신설되었으며, 장풍군의 일부는 금천군에 편입되었다.

1955년 개성시와 황해북도 개풍군·판문군이 통합되어 개성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1961년 3월 황해북도 장풍군에 강원도 철원군 일부를 편입시키면서 개성직할시의 관할이 되었다. 2004년 1월 개성직할시를 황해북도 개성특급시로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