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역사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에서 고려역사를 정리한 역사서.

편찬과정

조선시대 태조의 명에 따라 1392년 정도전, 정총, 박의중, 윤소종에게 명하여 수찬하게 한 것이 처음이다. 태조 4년(1395년)에 고려 태조로부터 마지막 공양왕에 이르기까지 총 37권의 고려사를 편찬하였다.

이후 태종 14년(1414년)에 《고려사》 공민왕 이후 말기의 일이 잘못 기록된 것을 고치기 위하여 다시 수정하기 위하여 하윤, 남재, 변계량으로 하여금 개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태종 16년 하윤이 죽어 일이 중단되었으며 세종 1년(1419년)에 유관, 변계량에게 다시 개수 작업을 계속하도록 하였다. 다시 세종 5년(1423년)에 유관, 윤회에게 다시 개수하게 하였는데 주로 호칭과 정도전에 의한 편향된 시각의 왜곡을 수정하기 위해서였다. 예를 들어 정몽주를 깎아내린 것을 다시 충신으로 평하여 기록한 것이다.

세종 6년(1424년)에 윤회가 교정하여 편찬한 《고려사》를 다시 올렸다. 이후에도 신개, 권제등이 찬술하였고, 이계전, 어효첨에게 교정하도록 하였으며 세종 31년(1449년)에는 춘추관에 지시하여 다시 편찬하도록 하였다. 이때 김종서, 정인지, 이선제에게 이일에 대한 감독을 맏기었다. 실제 작업은 사관이였던 신석주, 최항, 박팽년, 이석형, 김예몽, 하위지, 양성지, 유성원, 이효장, 이문형등 당대의 최고 문관들이 참여하였다.

최종적으로 1451년(문종 1년)에 완성되었다.

내용

  • 형식: 기전체. 세가(46권)·지(志 39권)·표(表 2권)·열전(50권) 등의 4항목으로 구성. 목록 2권도 포함됨. 총 139권.
  • 목적: 이 방대한 역사 편찬 작업은 다만 지나간 역사가 아니라 고려시대의 군신들의 행적 참고로 하여 새로운 조선의 통치에 적극적으로 이용하려 하는 목적에서 만든 것이다. 공식적으로 조선이 만든 최초의 역사서로서 조선의 역사편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