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려사

2,580 바이트 추가됨, 2008년 7월 26일 (토) 18:39
잔글
1 revision
[[조선]]에서 [[고려]]역사를 정리한 역사서.

===편찬과정===
[[조선]]시대 [[조선 태조|태조]]의 명에 따라 [[1392년]] [[정도전]], [[정총]], [[박의중]], [[윤소종]]에게 명하여 수찬하게 한 것이 처음이다. [[조선 태조|태조]] 4년(1395년)에 [[고려]] [[고려 태조|태조]]로부터 마지막 [[공양왕]]에 이르기까지 총 37권의 고려사를 편찬하였다.

이후 [[조선 태종|태종]] 14년([[1414년]])에 《고려사》 [[공민왕]] 이후 말기의 일이 잘못 기록된 것을 고치기 위하여 다시 수정하기 위하여 [[하윤]], [[남재]], [[변계량]]으로 하여금 개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조선 태종|태종]] 16년 [[하윤]]이 죽어 일이 중단되었으며 [[조선 세종|세종]] 1년([[1419년]])에 [[유관]], [[변계량]]에게 다시 개수 작업을 계속하도록 하였다. 다시 [[조선 세종|세종]] 5년([[1423년]])에 [[유관]], [[윤회]]에게 다시 개수하게 하였는데 주로 호칭과 [[정도전]]에 의한 편향된 시각의 왜곡을 수정하기 위해서였다. 예를 들어 [[정몽주]]를 깎아내린 것을 다시 충신으로 평하여 기록한 것이다.

[[조선 세종|세종]] 6년([[1424년]])에 [[윤회]]가 교정하여 편찬한 《고려사》를 다시 올렸다. 이후에도 [[신개]], [[권제]]등이 찬술하였고, [[이계전]], [[어효첨]]에게 교정하도록 하였으며 [[조선 세종|세종]] 31년([[1449년]])에는 [[춘추관]]에 지시하여 다시 편찬하도록 하였다. 이때 [[김종서]], [[정인지]], [[이선제]]에게 이일에 대한 감독을 맏기었다. 실제 작업은 사관이였던 [[신석주]], [[조선 최항|최항]], [[박팽년]], [[이석형]], [[김예몽]], [[하위지]], [[양성지]], [[유성원]], [[이효장]], [[이문형]]등 당대의 최고 문관들이 참여하였다.

최종적으로 [[1451년]]([[조선 문종|문종]] 1년)에 완성되었다.

===내용===
*형식: [[기전체]]. [[세가]](46권)·지(志 39권)·표(表 2권)·열전(50권) 등의 4항목으로 구성. 목록 2권도 포함됨. 총 139권.
*목적: 이 방대한 역사 편찬 작업은 다만 지나간 역사가 아니라 [[고려]]시대의 군신들의 행적 참고로 하여 새로운 [[조선]]의 통치에 적극적으로 이용하려 하는 목적에서 만든 것이다. 공식적으로 [[조선]]이 만든 최초의 역사서로서 [[조선]]의 역사편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분류:조선]]
[[분류:문헌]]
익명 사용자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