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자의 난

역사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초기, 왕위 계승을 둘러싼 왕자들 간의 내분을 칭함.

제1차 왕자의 난

조선 태조는 한씨 로부터 이방우, 이방과, 이방의, 이방간, 이방원, 이방연을 두었다. 그리고 계비 강씨로 부터 이방번, 이방석을 두었다.

조선 태조는 왕위 계승을 할 때, 계비 강씨의 소생인 이방석을 세자로 책봉하였다. 이것은 개국공신들과 강씨의 입김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특히 정도전을 비롯한 신진 사대부들은 한씨 소생이 왕위에 오를 경우 왕권이 전제화되고, 이상적인 정치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 여겼다. 따라서 어리고 왕권이 미약한 왕을 세워, 이상적인 신권정치(신하 중심의 정치)를 이룩하고자 하였다.

이방원은 상황이 불리해지자 사병을 이끌고 정도전남은의 집으로 쳐들어가 살해하였다. 그리고 이복동생인 이방석을 세자에서 폐위시키고, 귀양보내는 도중에 살해해 버렸다. 이방번도 역시 살해하였다. 이 사건으로 이방원의 유력한 세자 후보가 되었다. 그러나 이방원은 한사코 세자직을 사양하고 둘째 형인 이방과를 세자로 내세웠다. 이후 이방과가 왕위에 올라 조선 정종이 된다. (1398년)

제2차 왕자의 난

이방간이방원의 형으로 이방원과 함께 1차 왕자의 난을 이끌었다. 그러나 그의 세력이 항상 동생인 이방원에 못 미치자 이를 매우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이방원을 공격하였고, 이방원 또한 맞받아쳤다. 그러자 개경(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잠시 개경으로 수도를 옮겼다.) 한복판에서 두 세력이 정면으로 충돌하게 되었고, 여기서 이방간은 패배하였다. 이방간은 귀양 보내고, 이방간의 오른팔인 박포는 사형에 처해졌다. (1400년 1월)

이후 조선 정종은 이방원을 세제(왕위를 이을 동생, 세자와 같은 격)로 삼고, 1400년 11월에 왕위를 물려주었다.

두 차례 왕자의 난은 이방원의 승리로 마감되었다. 이는 이방원의 왕권강화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