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직불금 문제

역사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 쌀 개방으로 인한 농민 구제책 중 하나였으나, 미경작 고위 공무원, 정치인 등이 이 직불금을 타 먹은 것으로 나타나 큰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쌀 직불금

쌀 직불금의 공식 명칭은 `쌀 소득보전 직불금`이다. 쌀 농가의 소득보전을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직불금을 산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먼저 한 가마(80킬로)당 목표금액을 정한다.
  2. 그러나 보통 현지 산지에서 거래되는 가격은 목표금액보다 훨씬 미달한다.
  3. 그래서 정부에서 목표금액과 산지거래액의 격차를 조사하여 격차의 85%까지 직불금으로 지불한다. (변동형 직불금)
  4. 또한 농가는 1헥타르(약 3025평)당 고정적으로 70만원의 직불금을 받는다. (고정형 직불금)

이렇게 하여 농가의 소득을 보존하는 제도이다.

시사 이슈

그러나 2008년 10월, 이봉화 보건복지가족부 차관이 실제 농사를 짓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쌀 직불금을 수령한 사실이 드러났다. 한나라당김성회 의원과, 김용학 의원도 직불금을 수령한 사실이 MBC의 취재 결과 드러났다. [1]또한 감사원은 뒤늦게 4만명의 공무원이 미경작임에도 쌀 직불금을 탔다는 사실을 공개하였다. 정부에서는 2008년부터는 직불금을 지불할 때, 실제 경작 유무를 조사한다고 발표하였다.

2008년 10월 16일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행정안전부 보고에 따르면) 현재 고위공무원단(1∼3급)에 속한 고위공무원 1천508명 가운데 60∼70명 가량이 가족 명의로 쌀소득 직불금을 신청·수령했다. 그러나 97%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 가운데 97%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조만간 직불금 수령 고위 공무원의 명단도 발표할 예정이다.

고위 공직자 및 정치인들이 쌀 직불금을 탄 이유는 무엇일까? 단돈 수십~수백 만원 때문은 아닐 것이다. 바로 양도소득세 감면이다. 본래 농사를 짓는 농민들은 양도소득세를 1억원 한도 내에서 감면 받는다. 문제가 된 사람들은 양도소득세를 감면받기 위해서 쌀 직불금을 신청하여 마치 `농사를 짓고 있는`것처럼 신분을 세탁한 것이다. 이는 2005년 쌀 직불금 제도가 시행된 이후부터 양도소득세 감면자가 크게 늘어난 것을 봐도 알 수 있다. [2]

쌀 직불금 문제가 수그러지지 않자, 국회는 11월 중으로 국정감사를 결의하였다. 또한 이 문제를 놓고 노무현대통령의 책임설이 오가는 등 정치적 분란거리가 되고 있다. 한편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올 초에 쌀 직불금 문제에 대한 농림수산부의 보고에 관심이 없었다는 기사가 나왔다. [3]

11월 초,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은 개인적으로 파악한 직불금 명단 일부를 공개하였으며, 감사원은 11월 14일 직불금 부정수령 명단 28만명을 11월 17일까지 전달하기로 하였다.

주석

  1.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081016075102889&p=imbc&RELATED=R4
  2. http://www.cnbnews.com/category/read.html?bcode=55125&mcode=
  3.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10221813385&code=91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