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륙변려체

역사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 한문 문장체의 일종.

문장이 4자와 6자를 기본으로 한 대구(對句)로 이루어져 수사적으로 미감(美感)을 주는 문체로, 변(騈)은 한 쌍의 말이 마차를 끈다는 뜻이고, 여(儷)는 부부라는 뜻이다.

한나라 후기에 시작되어 위나라·진나라·남북조시대를 거쳐 당나라 중기까지 유행한 문체로, 변려문이라는 명칭은 당송 8대가의 한 사람인 유종원의 <걸교문> 중 “변사려륙금심수구(騈四儷六錦心繡口)”라는 구절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이후 쇠퇴하였으나 청나라 때 다시 유행한다. 우리나라도 외교문서에서 수사법으로 자주 활용하였다.

변려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대구를 존중했다. 이것은 한문에 흔히 있는 일이다. 그렇지만 변려문에는 특별히 대구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둘째는 넉 자 또는 여섯 자의 구(句)를 많이 쓴다. 한문에는 원래 넉 자·여섯 자로 된 구가 많다. 그렇지만, 변려문에는 의식적으로 이것을 구사한 것이 특징이다. 셋째는 평측(平仄)과 압운(押韻)을 존중한다.

넷째는 음조의 아름다움을 살린다. 다섯째는 전고(典故: 전례와 고사) 사용을 존중한다. 이렇게 해서 화려한 미문(아름다운 문장)의식을 높이는 것이 변려문의 총체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