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미륵보살반가상2

역사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파일:금동미륵보살반가상2.jpg
국보 83호. 일본에도 이와 유사한 `목조반가사유상`이 있다.
  • 금동미륵보살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국보 제78호)보다 조금 뒤에 만들어진 함께 국내 최대의 금동반가상이다. 현재 국보 83호로 지정되어 있다.

기본형에 있어서 피차에 다른 점이 없으나, 조형감각과 세부기법에 있어서는 같지 않은 일면을 가지고 있다. 국보(國寶) 제78호 반가상이 직절적(直截的)이고 날카로우며 장식적이고 기교적이라면, 이것은 풍요 원만한 지체(肢體)와 간소 명랑한 표현형식이 오히려 감각적인 육체를 통하여 생동하는 미를 볼 수 있다.

머리에는 조그맣고 둥근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얼굴은 거의 원(圓)에 가까울 정도로 풍만한데, 눈은 가늘고 눈썹은 아름다운 고선(孤線)을 그리며, 눈두덩과 입가에서 미소를 풍기고 있다. 길게 늘어진 귓불에는 구멍이 뚫려 있고, 상반신은 전라(全裸)의 모습이며, 몸에는 목에 2줄로 표현된 목걸이가 걸려 있을 뿐 아무 장식도 없다. 왼발은 내려서 작은 연좌(蓮座)를 밟고, 오른발은 그 무릎 위에 얹어 놓았는데, 왼손으로 그 발목을 잡고, 오른손은 팔꿈치를 무릎에 얹었으며, 손가락으로 턱을 살며시 괴고 있다.

아랫몸을 덮은 하상(下裳)은 매우 얇아서 아랫몸의 표현에 충실하고, 쌍판(雙瓣) 복련(複蓮)의 대좌(臺座)를 덮은 옷주름은 깊고 자연스럽게 표현되어 연화대(蓮華臺)가 거의 다 드러나 있는데, 왼쪽으로 규옥(圭玉)을 맨 상의(裳衣)띠가 내려가고 있다. 뒷머리부분에 긴 촉이 달려 있는 것을 보면 원래 광배(光背)가 있었던 것 같다. 온몸에는 도금(鍍金)한 위에 칠금(漆金)을 올렸던 듯 금빛이 은은하다.

1963년, 방사선 투과법에 의한 조사를 한 결과, 머리부분에서 몸통에 걸쳐 4각 막대기의 지주가 박혀 있고, 왼발부분에는 보수한 흔적을 볼 수 있었는데, 이것도 못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 불상은 막연히 경주(慶州) 오릉(五陵) 근처 절터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전하나 근거 없는 말이며, 아직 그것이 전해져 오는 유래를 알 수 없다(백제의 것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조각수법으로 보아 국보(國寶) 제78호 반가상보다 연대가 내려와, 삼국(三國) 말기에 가까운 시기의 제작이 아닌가 추정되고 있다.

이는 일본 광륭사(廣隆寺)에 있는 일본 국보 목조반가사유상과 매우 모습이 흡사하여 삼국과 일본간의 문화적 교류에 대해서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