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역사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 동아시아 한민족이 사용하는 언어. 역사와 특징 및 각종 문법을 정리하였다.

역사

특징

고유 문법

구개음화

정의

앞 음절의 끝소리 ‘ㄷ, ㅌ’이 ‘ㅣ’모음이나 ‘ㅣ’상향 이중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경구개음(구개음)인 [ㅈ,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

특징

  • 한 형태소 안에서는 ‘ㄷ, ㅌ’이 ‘ㅣ’모음이나 ‘ㅣ’상향 이중 모음의 앞에 오더라도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예>디디다[지지다](X), 잔디[잔지](X), 티끌[치끌](X)
  • 사투리에 의한 구개음화 발음은 표준어에서는 인정하지 않는다. <예>기둥[지둥](X), 기름[지름](X), 길[질](X), 김[짐](X), 형님[성님](X)
  • 표기할 때는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나기 전대로 해야 한다.

구개음화의 예시

  • ‘ㄷ’ → [ㅈ]의 경우 <예>굳이[구지], 미닫이[미다지], 해돋이[해도지] (어근+접미사)
  • ‘ㅌ’ → [ㅊ]의 경우 <예>같이[가치], 밭이[바치], 붙이다[부치다], 붙여[부쳐], 낱낱이[낟나티→난나티→난나치](음절 끝소리 규칙→자음동화→구개음화)
  • ‘ㄷ’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것은 [치]로 발음한다.

<예>굳히다[구티다→구치다](자음축약→구개음화), 묻혀[무텨→무쳐](자음축약→구개음화)

전설모음화

아래 처럼 앞 음절의 'ㅏ,ㅓ,ㅗ,ㅜ,ㅡ'가 뒤 음절에 전설 모음인 'ㅣ'가 오면 이에 끌려서 전설 모음 'ㅐ,ㅔ,ㅚ,ㅟ,ㅣ'로 변하는 현상을 전설 모음화라고 합니다. 이를 달리 'ㅣ'모음 역행동화(umlaut)라고도 합니다.

  • ㉠ 남비→ 냄비, 사끼→새끼, 멋장이→ 멋쟁이
  • ㉡ 어미 → 에미, 손잡이→ 손잽이, 고기→ 괴기, 학교→ 핵교

이것은 필수적인 현상은 아닙니다. 위에서 ㉠은 표준어로 인정되지만, ㉡은 사투리일 뿐입니다. 전설 모음화된 단어를 표준어로 인정한 또다른 예로 '서울내기, 시골내기, 풋내기, 신출내기, 소금쟁이, 담쟁이, 골목쟁이' 등이 있습니다.

자음동화

모음동화

불규칙 용언

용언(用言)'은 문장에서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 성질이나 상태 등을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품사로 어미를 취하여 굴절하는 단어이다. '무엇이 어찌하다' '무엇이 어떠하다'에서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어찌하다',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어떠하다'에 해당되는 단어가 곧 용언이다. 용언에는 동사·형용사가 있다.

동사는 사물의 움직임을 주로 나타내는 품사이며, 명령형과 청유형의 어미변화를 할 수 있는 용언이다. 형용사는 사물의 상태와 성질을 나타내는 품사이며, 활용을 하지만 명령형과 청유형의 어미변화를 할 수 없다.

거라 불규칙 활용

거라 불규칙 활용 또는 거라 벗어난끝바꿈은 동사의 명령형 어미가 ‘-아라/-어라’로 되지 않고 ‘-거라’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가다’와 ‘-가다’로 끝나는 낱말은 모두 ‘가거라’로 바뀐다. 거라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가다 → 가거라
  • 걸어가다 → 걸어가거라
  • 돌아가다 → 돌아가거라
  • 삼가다 → 삼가거라
  • 쫓아가다 → 쫓아가거라

너라 불규칙 활용

너라 불규칙 활용 또는 너라 벗어난끝바꿈은 동사의 명령형 어미가 어미가 ‘-아라/-어라’로 되지 않고 ‘-너라’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오다’와 ‘-오다’로 끝나는 낱말은 모두 ‘오너라’로 바뀐다. 너라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오다 → 오너라
  • 가져오다 → 가져오너라
  • 돌아오다 → 돌아오너라
  • 들어오다 → 들어오너라
  • 들여오다 → 들여오너라

디귿 불규칙 활용

디귿 불규칙 활용은 어간 받침 ‘ㄷ’이 홀소리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ㄹ’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디귿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겯다 → 결어, 결으니
  • 긷다 → 길어, 길으니
  • 눋다 → 눌어, 눌으니
  • 붇다 → 불어, 불으니
  • 싣다 → 실어, 실으니
  • 듣다 → 들어, 들으니

러 불규칙 활용

러 불규칙 활용은 어미 ‘-어/-어서’의 ‘-어’가 ‘-러’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러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검푸르다 → 검푸르러
  • 노르다 → 노르러
  • 이르다(≒닿다) → 이르러
  • 푸르다 → 푸르러

르 불규칙 활용

르 불규칙 활용 또는 르 벗어난끝바꿈은 어간의 끝 음절 ‘르’가 ‘ㄹ’로 줄고, 어미 ‘-아/-어’가 ‘-라/-러’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르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가르다 → 갈라
  • 거우르다 → 거울러
  • 모르다 → 몰라
  • 누르다 → 눌러
  • 흐르다 → 흘러
  • 부르다 → 불러

ㄹ 불규칙 활용

ㄹ 불규칙 활용은 어간 끝소리 ‘ㄹ’이 ‘ㄴ’, ‘ㄹ’, ‘ㅂ’, ‘오’, ‘시’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학교 문법에서는 어간 끝소리 ‘ㄹ’이 ‘ㄴ’, ‘ㄹ’, ‘ㅂ’, ‘오’, ‘시’ 앞에서 늘 사라지므로 단순한 소리의 탈락으로만 본다. 리을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갈다 → 가니, 가오, 가는
  • 날다 → 나니, 나오, 나는
  • 살다 → 사니, 사오, 사는
  • 쏠다 → 쏘니, 쏘오, 쏘는
  • 줄다 → 주니, 주오, 주는
  • 놀다 → 노니, 노오, 노는

ㅂ 불규칙 활용

ㅂ 불규칙 활용 또는 ㅂ 벗어난끝바꿈은 어간 끝소리 ‘ㅂ’이 ‘우’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워’, ‘우니’의 형태로 결합되어 나타난다. 비읍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가볍다 → 가벼워, 가벼우니
  • 껄끄럽다 → 껄끄러워, 껄끄러우니
  • 부끄럽다 → 부끄러워, 부끄러우니
  • 쑥스럽다 → 쑥스러워, 쑥스러우니
  • 줍다 → 주워, 주우니

※ ‘곱다(≒아름답다)’와 ‘곱디곱다’, ‘돕다’는 ‘워’ 대신 ‘와’로 바뀐다.

ㅅ 불규칙 활용

ㅅ 불규칙 활용은 어간 끝소리 ‘ㅅ’이 홀소리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시옷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긋다 → 그어, 그으니
  • 낫다 → 나아, 나으니
  • 잣다 → 자아, 자으니
  • 젓다 → 저어, 저으니
  • 짓다 → 지어, 지으니

ㅕ 불규칙 활용

ㅕ 불규칙 활용은 어미 ‘-아’가 ‘-여’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하다’와 ‘-하다’로 끝나는 모든 용언은 여 불규칙 활용을 한다.

  • 하다 → 하여, 하였다
  • 공부하다 → 공부하여, 공부하였다

ㅜ 불규칙 활용

우 불규칙 활용 또는 우벗어난끝바꿈은 어간 끝 ‘우’가 어미 ‘-어’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우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 예 하나뿐이다.

  • 푸다 → 퍼

ㅡ 불규칙 활용

ㅡ 불규칙 활용 또는 으 벗어난끝바꿈은 용언 어간 ‘으’가 어미 ‘-아/-어’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통일 학교 문법’에서는 늘 생기는 음운 탈락 현상으로 보아 불규칙 활용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으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기쁘다 → 기뻐
  • 슬프다 → 슬퍼
  • 쓰다 → 써
  • 예쁘다 → 예뻐
  • 크다 → 커

ㅎ 불규칙 활용

ㅎ 불규칙 활용은 일부 형용사에서 어간 끝 ‘ㅎ’이 어미 ‘-ㄴ’이나 ‘-ㅁ’ 앞에서 사라지고, 어미 ‘-아/-어’ 앞에서ㅣ로 바뀌어 합쳐지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ㅎ다’꼴의 형용사는 거의 외예 없이 이런 불규칙 활용을 한다. 히읗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가맣다 → 가매, 가만, 가마니, 가마면, 가맸다
  • 노랗다 → 노래, 노란, 노라니, 노라면, 노랬다
  • 빨갛다 → 빨개, 빨간, 빨가니, 빨가면, 빨갰다
  • 파랗다 → 파래, 파란, 파라니, 파라면, 파랬다
  • 하얗다 → 하얘, 하얀, 하야니, 하야면, 하얬다
  • 말갛다 → 말개, 말간, 말가니, 말가면, 말갰다
  • 멀겋다 → 멀게, 멀건, 멀거니, 멀거면, 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