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여

5,821 바이트 추가됨, 2008년 7월 26일 (토) 18:39
잔글
1 revision
{{틀:한국사}}

*기원전 4세기경~서기 [[494년]]까지 존속하였던 [[만주]] 중북부지역에 위치한 고대정치세력. [[맥족]](북쪽사람들이라는 뜻) 계열이 세웠다고 전해진다.
=== 역사 ===
부여는 여러 측면에서 유이민 집단일 가능성이 높다. 사서에는 기원전 3세기까지 부여의 기록이 남아 있는 점을 보아, 부여는 그 이전에 북쪽 유이민이 세운 부족연합체였다. [[고조선]]의 간접적인 영향권 아래 놓여 있다가 [[고조선]]이 멸망한 이후([[기원전 108년]]) 독자적인 길을 가기 시작한다. 하지만 중앙집권적 통일국가로 진전되지는 못했다. 왕권은 미약했으며, 사소한 것으로 임금이 죽임을 당하는 일도 있었다.

부여는 동방에 새로 등장한 [[한나라]] 세력과 깊은 유대관계를 가지고, [[고구려]]의 성장을 견제하였다. 하지만 부여 [[대소왕]]은 무리하게 고구려를 공격하다 고구려 [[대무신왕]]에게 반격을 받아 죽임을 당하고(서기 [[22년]]), 동생은 [[갈사국]]이라는 망명정권을 세우는 등 차츰 [[고구려]]에 우세했던 국력이 밀려리고 있었다. 한편 왕권은 조금씩 강화되어 서기 3세기 후반에는 [[간위거]](簡位居)-[[마여]](麻余)-[[의려왕]](依慮)으로 이어지는 부자 세습이 가능할 정도로 왕권은 성장했다. 부여는 서방의 유목민족과 [[고구려]]의 압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2세기 이후부터 더욱 [[한나라]]와의 동맹을 강화한다. 이 결과 서기 [[120년]] [[위구태]](尉仇台)는 부여왕자로서, [[136년]]에는 부여왕으로서 직접 [[한나라]]를 방문했고, [[한나라]]는 그를 융숭히 대접하였다. 또한 [[위구태]]는 당시 [[요동]]의 지배자였던 [[공손탁]](公孫度) 집안의 여인과 혼인을 하였다.

부여는 동쪽 [[연해주]] [[인근]]의 [[읍루]]를 복속시켰으나, 곧 [[읍루]]는 [[고구려]]의 세력으로 편입된다.

====부여의 분열====
부여는 [[285년]] [[선비족]](鮮卑族) [[모용씨]](慕容氏)의 침입을 받아 수도가 함락되자 국왕 [[의려왕]](衣慮)가 자살하고 1만 여 명의 주민이 포로로 잡혀가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그뒤 왕족을 비롯한 중심세력이 잠깐 동안 북[[옥저]] 방면으로 피난했다. [[의라왕]](衣羅王) 때 [[서진]]의 지원을 받아 [[선비족]]을 물리치고 본토로 돌아왔다. 그런데 북[[옥저]] 방면으로 피난했던 부여의 세력 중 일부가 이곳에 남아 부여를 칭하게 되자, [[고구려]] 사람들은 이를 구별하여 북[[옥저]] 방면의 부여를 동부여로, 원래의 부여를 북부여로 불렀다. 동부여는 서기 [[410년]]에 [[광개토 대왕]]의 공격에 항복하고, [[고구려]]에 흡수된다.

한편 [[346년]] [[전연]]의 [[모용황]] 침공으로 인해 심한 타격을 입은 북부여는 결국 [[고구려]]에 항복하여 그 왕실만을 이어갔다. 그 뒤 부여 왕실이 기존의 [[고구려]] 영토 내부로 편입되면서 [[494년]] 완전히 멸망하였다.

===부여의 정치===
부여에는 임금 아래에 가축의 이름을 딴 마가, 우가, 저가, 구가와 대사자, 사자 등의 관리가 있었다. 이들 가(加)는 저마다 따로 행정 구획인 [[사출도]]를 다스리고 있어서, 군주가 직접 통치하는 중앙과 합쳐 5부를 이루었다. 가들은 새 군주를 추대하기도 하였고, 수해나 한해를 입어 오곡이 잘 익지 않으면 그 책임을 군주에게 묻기도 하였다. 이런 점으로 봐서 전반적으로 군주권이 매우 약했다고 짐작된다.

1세기경 [[대소왕]]이 중앙집권화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부여는 고대국가의 문턱에서 좌절하고 만다.

===부여의 경제===
*일찍부터 농경생활을 하였으며, 철기문화를 도입하여 생산력의 발전을 꾀했다.
*주요 산물로서는 말, 적옥(붉은 옥), 각종 보석과 모피가 있었다. 이런 특산물로 보아서 수렵이나 목축도 농경 못지 않게 행해졌으며, 광물자원 개발에도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부여의 사회===
*지배계층 밑에 '[[하호]]'라고 불리우는 피지배계층이 있으며, 그 아래에 노예가 존재하였다. [[하호]]의 성격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부여의 법으로는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으며,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에는 물건 값의 12배를 배상하게 하고, 간음한 자와 투기가 심한 자는 사형에 처한다는 것 등이 전해지고 있다. 이는 결국 [[고조선]]의 [[8조 법금]]과 비슷한 종류임을 알 수 있다. [[고조선]]과 유사한 사회구조를 지니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일부다처제 사회였으며, 첩을 여럿 두는 것도 허락되었다.
===부여의 문화===
*부여의 풍속에는 '[[영고]](맞이굿)'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는데, 이것은 수렵 사회의 전통을 보여 주는 것으로 12월마다 열렸다. 이 때에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노래와 춤을 즐기며, 죄수를 풀어 주기도 하였다. 전쟁이 일어났을 때에는 제천 의식을 행하고, 소를 죽여 그 굽으로 길흉을 점치기도 하였다(우제점법).
*부여 사람들은 흰 옷을 즐겨 입었다.
*부여는 [[상나라]](은나라) 달력(은력)을 사용하였다고 전해진다.
*부여에는 많은 부족국가들이 그러했듯이 임금이나 대부족장이 죽으면 [[껴묻거리]]와 [[순장]]의 장례풍습이 있었다.

[[분류:한국사]]
[[분류:부여]]
익명 사용자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