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한국어

8,995 바이트 추가됨, 2009년 1월 5일 (월) 08:47
편집 요약 없음
*동아시아 [[한민족]]이 사용하는 언어. 역사와 특징 및 각종 문법을 정리하였다.
==역사==

==특징==

==고유 문법==

===구개음화===
====정의====
앞 음절의 끝소리 ‘ㄷ, ㅌ’이 ‘ㅣ’모음이나 ‘ㅣ’상향 이중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경구개음(구개음)인 [ㅈ,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

====특징====
*한 형태소 안에서는 ‘ㄷ, ㅌ’이 ‘ㅣ’모음이나 ‘ㅣ’상향 이중 모음의 앞에 오더라도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예>디디다[지지다](X), 잔디[잔지](X), 티끌[치끌](X)
*사투리에 의한 구개음화 발음은 표준어에서는 인정하지 않는다. <예>기둥[지둥](X), 기름[지름](X), 길[질](X), 김[짐](X), 형님[성님](X)
*표기할 때는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나기 전대로 해야 한다.

====구개음화의 예시====
*‘ㄷ’ → [ㅈ]의 경우 <예>굳이[구지], 미닫이[미다지], 해돋이[해도지] (어근+접미사)
*‘ㅌ’ → [ㅊ]의 경우 <예>같이[가치], 밭이[바치], 붙이다[부치다], 붙여[부쳐], 낱낱이[낟나티→난나티→난나치](음절 끝소리 규칙→자음동화→구개음화)
*‘ㄷ’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것은 [치]로 발음한다.
<예>굳히다[구티다→구치다](자음축약→구개음화), 묻혀[무텨→무쳐](자음축약→구개음화)

===전설모음화===
아래 처럼 앞 음절의 'ㅏ,ㅓ,ㅗ,ㅜ,ㅡ'가 뒤 음절에 전설 모음인 'ㅣ'가 오면 이에 끌려서 전설 모음 'ㅐ,ㅔ,ㅚ,ㅟ,ㅣ'로 변하는 현상을 전설 모음화라고 합니다. 이를 달리 'ㅣ'모음 역행동화(umlaut)라고도 합니다.

*㉠ 남비→ 냄비, 사끼→새끼, 멋장이→ 멋쟁이
*㉡ 어미 → 에미, 손잡이→ 손잽이, 고기→ 괴기, 학교→ 핵교

이것은 필수적인 현상은 아닙니다. 위에서 ㉠은 표준어로 인정되지만, ㉡은 사투리일 뿐입니다. 전설 모음화된 단어를 표준어로 인정한 또다른 예로 '서울내기, 시골내기, 풋내기, 신출내기, 소금쟁이, 담쟁이, 골목쟁이' 등이 있습니다.
===자음동화===

===모음동화===

===불규칙 용언===
용언(用言)'은 문장에서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 성질이나 상태 등을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품사로 어미를 취하여 굴절하는 단어이다. '무엇이 어찌하다' '무엇이 어떠하다'에서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어찌하다',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어떠하다'에 해당되는 단어가 곧 용언이다. 용언에는 동사·형용사가 있다.

동사는 사물의 움직임을 주로 나타내는 품사이며, 명령형과 청유형의 어미변화를 할 수 있는 용언이다. 형용사는 사물의 상태와 성질을 나타내는 품사이며, 활용을 하지만 명령형과 청유형의 어미변화를 할 수 없다.
====거라 불규칙 활용====
거라 불규칙 활용 또는 거라 벗어난끝바꿈은 동사의 명령형 어미가 ‘-아라/-어라’로 되지 않고 ‘-거라’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가다’와 ‘-가다’로 끝나는 낱말은 모두 ‘가거라’로 바뀐다. 거라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가다 → 가거라
*걸어가다 → 걸어가거라
*돌아가다 → 돌아가거라
*삼가다 → 삼가거라
*쫓아가다 → 쫓아가거라
====너라 불규칙 활용====
너라 불규칙 활용 또는 너라 벗어난끝바꿈은 동사의 명령형 어미가 어미가 ‘-아라/-어라’로 되지 않고 ‘-너라’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오다’와 ‘-오다’로 끝나는 낱말은 모두 ‘오너라’로 바뀐다. 너라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오다 → 오너라
*가져오다 → 가져오너라
*돌아오다 → 돌아오너라
*들어오다 → 들어오너라
*들여오다 → 들여오너라
====디귿 불규칙 활용====
디귿 불규칙 활용은 어간 받침 ‘ㄷ’이 홀소리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ㄹ’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디귿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겯다 → 결어, 결으니
*긷다 → 길어, 길으니
*눋다 → 눌어, 눌으니
*붇다 → 불어, 불으니
*싣다 → 실어, 실으니
*듣다 → 들어, 들으니
====러 불규칙 활용====
러 불규칙 활용은 어미 ‘-어/-어서’의 ‘-어’가 ‘-러’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러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검푸르다 → 검푸르러
*노르다 → 노르러
*이르다(≒닿다) → 이르러
*푸르다 → 푸르러
====르 불규칙 활용====
르 불규칙 활용 또는 르 벗어난끝바꿈은 어간의 끝 음절 ‘르’가 ‘ㄹ’로 줄고, 어미 ‘-아/-어’가 ‘-라/-러’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르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가르다 → 갈라
*거우르다 → 거울러
*모르다 → 몰라
*누르다 → 눌러
*흐르다 → 흘러
*부르다 → 불러
====ㄹ 불규칙 활용====
ㄹ 불규칙 활용은 어간 끝소리 ‘ㄹ’이 ‘ㄴ’, ‘ㄹ’, ‘ㅂ’, ‘오’, ‘시’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학교 문법에서는 어간 끝소리 ‘ㄹ’이 ‘ㄴ’, ‘ㄹ’, ‘ㅂ’, ‘오’, ‘시’ 앞에서 늘 사라지므로 단순한 소리의 탈락으로만 본다. 리을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갈다 → 가니, 가오, 가는
*날다 → 나니, 나오, 나는
*살다 → 사니, 사오, 사는
*쏠다 → 쏘니, 쏘오, 쏘는
*줄다 → 주니, 주오, 주는
*놀다 → 노니, 노오, 노는
====ㅂ 불규칙 활용====
ㅂ 불규칙 활용 또는 ㅂ 벗어난끝바꿈은 어간 끝소리 ‘ㅂ’이 ‘우’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워’, ‘우니’의 형태로 결합되어 나타난다. 비읍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가볍다 → 가벼워, 가벼우니
*껄끄럽다 → 껄끄러워, 껄끄러우니
*부끄럽다 → 부끄러워, 부끄러우니
*쑥스럽다 → 쑥스러워, 쑥스러우니
*줍다 → 주워, 주우니
※ ‘곱다(≒아름답다)’와 ‘곱디곱다’, ‘돕다’는 ‘워’ 대신 ‘와’로 바뀐다.
====ㅅ 불규칙 활용====
ㅅ 불규칙 활용은 어간 끝소리 ‘ㅅ’이 홀소리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시옷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긋다 → 그어, 그으니
*낫다 → 나아, 나으니
*잣다 → 자아, 자으니
*젓다 → 저어, 저으니
*짓다 → 지어, 지으니
====ㅕ 불규칙 활용====
ㅕ 불규칙 활용은 어미 ‘-아’가 ‘-여’로 바뀌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하다’와 ‘-하다’로 끝나는 모든 용언은 여 불규칙 활용을 한다.
*하다 → 하여, 하였다
*공부하다 → 공부하여, 공부하였다
====ㅜ 불규칙 활용====
우 불규칙 활용 또는 우벗어난끝바꿈은 어간 끝 ‘우’가 어미 ‘-어’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우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 예 하나뿐이다.
*푸다 → 퍼
====ㅡ 불규칙 활용====
ㅡ 불규칙 활용 또는 으 벗어난끝바꿈은 용언 어간 ‘으’가 어미 ‘-아/-어’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통일 학교 문법’에서는 늘 생기는 음운 탈락 현상으로 보아 불규칙 활용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으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기쁘다 → 기뻐
*슬프다 → 슬퍼
*쓰다 → 써
*예쁘다 → 예뻐
*크다 → 커
====ㅎ 불규칙 활용====
ㅎ 불규칙 활용은 일부 형용사에서 어간 끝 ‘ㅎ’이 어미 ‘-ㄴ’이나 ‘-ㅁ’ 앞에서 사라지고, 어미 ‘-아/-어’ 앞에서ㅣ로 바뀌어 합쳐지는 활용 형식을 말한다. ‘-ㅎ다’꼴의 형용사는 거의 외예 없이 이런 불규칙 활용을 한다. 히읗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가맣다 → 가매, 가만, 가마니, 가마면, 가맸다
*노랗다 → 노래, 노란, 노라니, 노라면, 노랬다
*빨갛다 → 빨개, 빨간, 빨가니, 빨가면, 빨갰다
*파랗다 → 파래, 파란, 파라니, 파라면, 파랬다
*하얗다 → 하얘, 하얀, 하야니, 하야면, 하얬다
*말갛다 → 말개, 말간, 말가니, 말가면, 말갰다
*멀겋다 → 멀게, 멀건, 멀거니, 멀거면, 멀겠다
[[분류:문화]]
[[분류:대한민국]]
[[분류:Hdiconly]]
[[분류:미완]]
익명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