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계원필경

15 바이트 추가됨, 2021년 8월 28일 (토) 19:34
새 문서: *신라 말기의 대학자인 최치원의 문집. 886년 그의 나이 30살이 되던 해에 당나라에 있을 때 만든 작품(시만 해도 10000수에 달...
[[그림:계원필경.jpg|frame|[[최치원]]의 문집 계원필경]]
 
*[[신라]] 말기의 대학자인 [[최치원]]의 문집.
문집의 제목을 계원필경으로 한 것에 대해서는 계원(桂苑)은 '계수나무 동산'라는 뜻으로 '학자나 문인이 모인 곳'을 비유적으로, 필경(筆耕)은 붓으로 밭을 갈다라는 뜻으로 '글을 짓는다'를 비유적으로 말한 것이다.
내용은 1권에 <&lt;하개연호표(賀改年號表)> &gt; 등 표 10편, 2권에 <&lt;사가태위표(謝加太尉表)> &gt; 등 표 10편, 3~4권에 <&lt;사조장(謝詔狀)> &gt; 등 장 20편, 5권에 <&lt;주유황소(奏誘黃巢) 등 주장(奏狀) 10편, 6권에 <&lt;하입만사회장(賀入蠻使廻狀)> &gt; 등 10편, 7~10권에 <&lt;활주도통왕령공(滑州都統王令公)> &gt; 등 별지(別紙) 80편, 11권에 <&lt;격황소서(檄黃巢書)> &gt; 등 격문 4편과 <&lt;답절서주사공서(答浙西周司空書)> &gt; 등 편지 6편, 12권에 <&lt;제주허칙위곡(滁州許勅委曲)> &gt; 등 위곡(委曲) 20편, 13권에 거첩(擧牒) 25편과 <&lt;내행묵칙첩사(內行墨勅牒詞)> &gt; 5편, 14권에 거첩 25편, 15권에 <&lt;응천절재사(應天節齋詞)> &gt; 등 15편, 16권에 제문(祭文)·서(書)·기(記)·소(疏) 등 10편, 17권에 <&lt;초투헌태위계(初投獻太尉啓)> &gt; 등 10편과 7절기덕시(七絶記德詩) 30수, 18권에 서장(書狀)·서계(書啓) 등 25편, 19권에 <&lt;상좌주상서별지(上座主尙書別紙)> &gt; 등 별지·장계(狀啓)·잡서(雜書) 등 20편, 20권에 장계·별지·제문 등 10편과 <&lt;진정상태위시(陣情上太尉詩)> &gt; 등 시 30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계원필경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문집이며, [[고려]]와 [[조선]]의 [[과거]]시험에 계속 등장하기 때문에 여러 번 인용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제대로 된 완역본 조차 없으며, 연구는 [[중국]]에서 주도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신당서]]에도 계원필경에 대한 기록이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의 문집이라기 보다는 [[중국]]측 문헌에 더 가깝다.
계원필경의 문장은 [[사륙변려체]]라는 문체가 많이 쓰였으며, 여기에 쓰인 글은 대단히 우수한 문체로 알려져 있다.
[[분류:신라한국사]][[분류:문헌중국사]]
편집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