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청자

역사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파일:고려상감청자.jpg
13세기 고려 상감청자

고려청자는 주로 서남 해안에 분포되어 있는 가마에서 만들어 졌는데 특히 전라도 지방에 많은 가마가 밀집되어있습니다. 전남 강진전북 부안은 청자의 주산지로 유명합니다. 특히 부안에서는 청자뿐 아니라 세련된 고려백자도 다량 출토되었습니다. 이 두가마에서 생산된 청자는 양질(良質) 청자로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을 중심으로 한 귀족과 왕실에서 사용하던 것입니다.

양질 청자는 정선된 바탕흙에 비취색의 유약을 입힌 청자로서 초기에는 중국 당나라, 오대 10국, 송나라의 도자기나 금속 그릇으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중국 절강성월주요 청자의 푸른 유약색과 장식의 섬세성 월주요 청자의 인각부조를 모방한 반양각무늬 하북성 정요와 자주요의 문양이나 기형등과 유사한 양식이 고려청자에도 나타납니다. 양질 청자 가마는 전라도 강진, 부안외에도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부곡리, 충남 서산군 성연면 오사리 등지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양질청자에 비해 인천광역시 북구 경서동과 전남 해남군 산이면 진산리에서는 '녹청자'로 불리는 거친 청자도 제작되었습니다. 이것은 통일 신라시대의토기 바탕흙을 정선하여 그 위에 고화도의 회유를 입힌 것으로 녹갈색이나 황갈색을 띱니다. 녹청자는 통일 신라시대말기부터 지방수요층을 대상으로 하여 지방가마에서 구워낸 것 입니다.

일반적으로 예술적 가치를 지닌 청자로 평가되는 것은 색깔 형태 문양 등이 매우 아릅답고 제작기법이 정교한 양질 청자입니다. 양질청자는 초기에는 중국 도자기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12세기부터는 고려적인 특징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섬세하고 부드러운 곡선의 조형미를 지니게 됩니다. 11세기말에서 2세기 전반에 걸쳐서는 이러한 특징을 갖춘 상형청자(象形靑磁 동물이나 식물및 인물모양의 청자)가 널리 제작되어집니다. 이처럼 다양하고 세련된 기형을 지니면서 푸른색의 유약은 광택이 은은하고 안정감을 주는 반투명의 비취색을 띠게 됩니다.

기형과 유약이 절정에 이른 시기에 고려자기를 대표하는 "상감청자"가 등장합니다. 상감기법은 처음에는 나전칠기와 금속공예에 사용되던 기법으로서 고려 장인의 창의에 의해 최초로 고려도자기에 이기법이 응용된 것입니다. 상감청자의 출현으로 고려청자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 하였고 유약은 얇고 투명해져서 파르스름한 유약을 통해 상감무늬가 선명하게 드러나게 됩니다.

고려청자는 대체로 아무무늬도 없는 소문이거나 음각 양각 투각퇴화 등의 무늬가 다양하게 펼쳐집니다. 12세기 전반기에 상감무늬가 나타난 이후에는 상감청자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진사채가 곁들여 지기도 합니다. 무늬의 소재는 연당초, 모란당초, 운학, 포류수금 등입니다. 또 흔히 접할 수 있는 그릇모양으로는 표주박모양병 주전자, 참외모양 병, 향로, 탁잔, 꽃병, 매병,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정병, 연적 등을 비롯하여 일상생활용기인 대접접시 등이 있습니다.